Infoworld
부담보 보험의 조건(+해제) 본문
보험에 있어 부담보란 특정한 신체 부위나 질병에 대해 일정기간 또는 보험 전기간 동안 수술이나 입원 등 각종 보장에 대해 보험금 지급을 제외하는 조건으로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특정 부위에 대한 보험보장을 하지 않는다는 말로 기간제 부담보와 전기간 부담보로 나뉩니다.
기간제 부담보는 1~5년 중 보험사가 정하는 기간 동안만 보장받을 수 없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2년간 피부 부위에 부담보를 적용받았다면 가입 후 2년간은 피부 관련 치료에 대한 보험금을 지급받지 못합니다.
다만 그 사이 피부 질환으로 병원 치료를 받은 것에 상관없이 부담보 기간인 2년이 지나는 시점에는 자동으로 부담보가 해제돼 그 이후부터는 병원 치료에 대한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간 부담보는 보험기간 즉 100세 만기보험의 경우엔 100세까지 해당 부위나 특정질병에 대해 보장을 받지 못한다는 의미로 보험기간 내내 특정질병에 관한 보험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기간 부담보라고 해도 해당 부위가 완치됐다고 판단되면 보담보가 해제됩니다. 즉 청약일로부터 5년간 치료이력이 없을시 부담보가 해제되는되요 예를 들어 위염때문에 위에 대한 부담보로 보험에 가입한 경우 , 가입후 5년 동안 병원에 가지 않고 약도 먹지 않았고 가입후 6년째 되는해 위암이 걸렸다면 보험금을 청구 할수 있으며 보험사는 보험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전기간 부담보로 가입이 되었는데 5년이 지나기 전에 치료를 받았다면 다시 5년간의 전기간 부담보 해제에 대한 기회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다만 계약의 부활로 인한 기회가 있습니다.
보험은 보험료를 성실히 납부해야만 보장을 받는데 만약 2회분의 보험료를 연속으로 납입하지 않으면 보험의 효력이 중지되고 이를 보험의 '실효'라고 합니다.
계약이 실효되었다가 밀린 보험료를 모두 내고 보험계약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을 보험 '부활' 이라고 하며 모두 납부하여 부활된 경우 부활이 이루어진 날을 '부활 청약일'이라고 합니다. 이때 부활 청약일로부터 5년간 해당 질병으로 재 진단 또는 치료가 없을 경우 전기간 부담보가 해제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보험 부활 절차는 보험사에 따라 다시 한번의 심사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전보다 좋지 않은 조건으로 계약이 이루어질 수 도 있으니 어느 쪽이 득인지는 잘 따져봐야 하겠습니다.
'상식,관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카카오페이 신청방법) (0) | 2021.11.01 |
---|---|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보장범위) (0) | 2021.10.30 |
이재명 대선후보 공약 (0) | 2021.10.11 |
태풍 찬투 이동경로에 따른 항공기 결항 (0) | 2021.09.17 |
울산 효성화학 공장 화재 상황 (0) | 2021.09.05 |